목록그리고 (52)
테키테크 TEKITECH

데이터 과학은 데이터 세계와 비즈니스 세계를 잇는 다리입니다. - Ji Li 위 문장은 책에서 데이터 과학자 Ji Li가 Quora에 올린 글을 번역한 내용 중 일부이다. 이 문장은 '데이터 분석'과 '데이터 과학'의 차이점을 잘 드러낸다. 글의 다음 내용을 더 읽어보면 "데이터 과학을 하려면 프로그래밍, 통계학, 시각화와 더불어 비즈니스 감각을 갖추어야 합니다."라고 말한다. 즉, 데이터 과학은 아주 넓은 범위를 아우른다는 말이다. 반면 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과학의 한 부분에 해당한다. '결과물'을 중점으로 이해해 보면 데이터 과학은 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솔루션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춘다면, 데이터 분석은 올바른 의사 결정을 돕기 위한 통찰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에서는 데이터 분..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 중 CPU에 대하여. ALU와 제어장치, 그리고 레지스터 명령어 사이클 인터럽트 1. ALU와 제어장치, 그리고 레지스터 CPU 내부에 있는 구성 요소 3가지 계산을 담당하는 ALU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해석하는 제어장치 작은 임시 저장 장치인 레지스터 [1] ALU ◈ 플래그 연산 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상태 정보로, 플래그 레지스터에 저장됨 ALU가 내보내는 대표적인 플래그에는 부호 플래그, 제로 플래그, 캐리 플래그, 오버플로우 플래그, 인터럽트 플래그, 슈퍼바이저 플래그, 등이 있음 [2] 제어장치 제어장치: 제어 신호를 내보내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부품 제어 신호: 컴퓨터 부품들을 관리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일종의 전기 신호 [3] 레지스터 많은 CPU가 공통으로 포함하..

4주 차 미션! [미션 1] p. 304의 확인 문제 1번 풀고 인증하기 [미션 2] Ch.11(11-2) 준비 큐에 A, B, C, D 순으로 삽입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선입 선처리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어떤 프로세스 순서대로 CPU를 할당받는지 풀어보기 선입 선처리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먼저 들어온 프로세스에 먼저 할당하는 방식으로, A-B-C-D 순으로 삽입되면 A-B-C-D 순으로 CPU를 할당받는다. 공부한 내용 Chapter 09 운영체제 시작하기 → [운영체제] Ch09. 운영체제 이해하기 Chapter 10 프로세스와 스레드 → [운영체제] Ch10. 프로세스와 스레드, 멀티프로세스와 멀티스레드 Chapter 11 CPU 스케줄링 → [운영체제] Ch11. CPU 스케줄링

고급 언어와 저급 언어 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 연산 코드와 오퍼랜드 명령어의 주소 지정 방식 1. 고급 언어와 저급 언어 고급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 사람이 이해하고 작성하기 쉽게 만들어진 언어 저급 언어(Low-Level Programming Language) : 컴퓨터가 직접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언어 "고급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가 실행되려면 저급 언어, 즉 명령어로 변환되어야 한다." ◈ Low-Level Programming Language - 기계어와 어셈블리어 기계어 : 명령어 비트(0과 1)로 이루어진 언어 어셈블리어 : 기계어를 읽기 편한 형태로 번역한 언어 2. 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 컴파일 언어 : 컴파일 방식 즉, 컴파..

우리가 알아야 할 컴퓨터 구조 지식 두 가지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의 단위 이진법, 십진법, 십육진법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1.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의 단위 컴퓨터의 언어, 0과 1 컴퓨터가 이해하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는 0 또는 1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이를 비트(bit)라고 한다. ◈ 정보의 크기에 따라 표현 가능한 정보의 종류는 달라진다. → N비트 정보는 2N가지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1비트 : (0) or (1) 2비트 : (0, 0) or (0, 1) or (1, 0) or (1, 1) 3비트 : (0, 0, 0) or (0, 0, 1) or (0, 1, 0) or (0, 1, 1) or (1, 0, 0) or (1, 0, 1) or ..

3주 차 미션! [미션 1] p. 185의 확인 문제 3번 풀고 인증하기 · 주로 캐시 메모리로 활용됩니다. ( SRAM ) · 주로 주기억장치로 활용됩니다. ( DRAM ) · 대용량화하기 유리합니다. ( DRAM ) · 집적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SRAM ) 주 기억장치의 하나인 RAM에는 DRAM, SRAM, SDRAM, DDR SDRAM 등이 있다. (1) DRAM은 Dynamic RAM의 준말로, 시간이 지나면 저장된 데이터가 점차 사라지는 특징이 있다. 대신 소비 전력이 비교적 낮고, 저렴하고, 집적도가 높아 대용량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2) SRAM은 Static RAM의 준말로, 시간이 지나도 저장된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DRAM과 차이가 있으며, 속도가 빠..

2주 차 미션! [미션 1] p. 125의 확인 문제 2번 풀고 인증하기 · ( 플래그 레지스터 ) : 연산 결과 혹은 CPU 상태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 ( 프로그램 카운터 ) : 메모리에 가져올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 ( 범용 레지스터 ) : 데이터와 주소를 모두 저장할 수 있는 레지스터 · ( 명령어 레지스터 ) : 해석할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 메모리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 메모리와 주고받을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스택 포인터 : 스택 최상단의 위치를 저장 베이스 레지스터 : 기준 주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미션 2] p. 155의 확인 문제 4번 풀고 인증하기 [미션 3] Ch.0..

우리가 알아야 할 컴퓨터 구조 지식 두 가지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데이터와 명령어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1.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컴퓨터의 언어, 0과 1 0과 1로 표현하는 정보 두 가지: 데이터와 명령어 데이터: 숫자, 문자,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적인 정보 명령어: 데이터를 움직이고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정보 2.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 컴퓨터는 주기억장치, CPU,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 네 가지 핵심 부품과 이를 연결하는 메인보드 (또는 마더보드), 그리고 메인보드 내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버스로 이루어져 있다. [1] 주기억장치 (Main Memory) :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