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그리고 (52)
테키테크 TEKITECH

이 책을 보자마자 데이터 엔지니어 필독서로 유명한 「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이라는 책이 떠올랐다. 아직 두 책 모두를 완벽하게 소화하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비교해 보니 몇 가지 차이점이 보였다. 1. 「견고한 데이터 엔지니어링」은 「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 보다 더 최신 데이터 엔지니어링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의 원서는 2017년에 최초로 발행되었고, 「견고한 데이터 엔지니어링」의 원서는 2022년에 최초로 발행되었다. 2. 「견고한 데이터 엔지니어링」은 「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 보다 두껍다. 「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은 312쪽, 「견고한 데이터 엔지니어링」은 552쪽이다. 3. 「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은 빅데이터를 다루는 특별한 방법에 대한 내용이고, 「견고..

서비스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실무자라면 대부분 마이크로서비스를 구현하고 운영하는 전반에 대한 여러 가지 고민을 하고 있을 것 같다. 지금 속해있는 팀에서도 니즈를 빠르게 반영해 서비스를 수정하고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MSA를 도입하는 일에 관심이 있다. MSA는 장단점이 명확하다. 즉, MSA의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것과 감수해야 할 것이 명확하다는 뜻이다. 마틴 파울러가 "마이크로서비스의 특징을 이해하고 특정한 상황에 적용하는 것이 현명하다"라고 언급[1][2]하기도 했고, 실제로 MSA의 실패 사례도 적지 않은 만큼 이러한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이 책의 저자가 중립적인 입장에서 필요한 내용을 설명해 주고 있어 MSA의 도입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얻을 수 있..

넷플릭스 홈페이지 중 일부를 캡처해 보았다. 이를 들여다보면 가장 윗줄에는 넷플릭스 로고와 '시리즈', '영화', '최신 등록 콘텐츠', '내가 찜한 콘텐츠'라는 메뉴가 있고, 그 아래로는 '한국 드라마', '새로 올라온 콘텐츠', 'Teki 님의 취향저격 베스트 콘텐츠'와 같은 제목과 제목에 따라 선별된 작품들의 이미지가 나열되어 있다. 여기에는 넷플릭스만의 추천 알고리즘이 녹아있다. 위와 같이 제목과 작품이 함께 나열된 ’프레임‘은 넷플릭스 홈페이지에서 사용자에게 작품 목록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제목을 붙여 구분하고 그 성격에 맞게 선별한 작품을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보여준다. 사용자는 흥미가 생기는 프레임에 주목하여 해당 프레임의 작품만 살펴보면 시청할 작품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이 구조를 달..

"여러분은 그림 속 의류 아이템을 종류별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어떤 것이 셔츠, 코트, 드레스인지 구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옷을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람에게 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신발은 어떻게 설명할까요? 그림에는 종류가 다른 신발 두 개가 있는데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이는 1장에서 이야기한 규칙 기반 프로그래밍이 실패하는 또 다른 영역입니다. 이따금 규칙으로 무언가를 설명하기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컴퓨터 비전도 예외가 아닙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이런 아이템을 인식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죠. 여러 가지 샘플을 보고 사용 방법을 경험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물을 구별합니다. 그렇다면 컴퓨터로 이 과정을 똑같이 해낼 수 있을까요? 네, 할 수 있습니다. (...중략...) 의류 아이..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운영체제' 챕터별 공부한 내용 ≪ [컴퓨터구조] Ch01. 컴퓨터 구조 [컴퓨터구조] Ch02. 0과 1,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 [컴퓨터구조] Ch03. 프로그래밍 언어와 컴퓨터 명령어 [컴퓨터구조] Ch04. CPU의 작동 원리 [컴퓨터구조] Ch05. CPU 제대로 쓰기 [컴퓨터구조] Ch06. RAM과 캐시메모리, 그리고 주소공간 [컴퓨터구조] Ch07. [컴퓨터구조] Ch08. [운영체제] Ch09. 운영체제 이해하기 [운영체제] Ch10. 프로세스와 스레드, 멀티프로세스와 멀티스레드 [운영체제] Ch11. CPU 스케줄링 [운영체제] Ch12. 동기화 문제(생산자와 소비자 문제, 임계구역 문제)와 동기화 도구(뮤텍스 락, 세마포, 모니터) [운영체제] Ch13. ..

파일 시스템에 대하여 파일과 디렉터리 FAT 파일 시스템과 유닉스 파일 시스템 1. 파일과 디렉터리 파일은 하드 디스크나 SSD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관련 정보의 집합 즉, 의미 있고 관련 있는 정보를 모은 논리적 단위를 의미한다. 파일을 이루는 정보에는 파일의 이름과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 그리고 속성(attribute) 또는 메타데이터(metadata)라고 부르는 파일 관련 부가 정보도 있다. 속성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유형 : 운영체제가 인지하는 파일의 종류(.exe, .com, .bin, .zip, ...) 크기 : 파일의 현재 크기와 허용 가능한 최대 크기 보호 :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사용자 권한 정보 날짜 : 생성 날짜, 마지막 접근 날짜, 마지..

6주 차 미션! [미션 1] p. 400의 확인 문제 1번 풀고 인증하기 · ( 최초 적합 ) : 최초로 발견한 적재 가능한 빈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 · ( 최악 적합 ) :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가장 큰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 · ( 최적 적합 ) :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가장 작은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 [미션 2] Ch. 14(14-3)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이 3개 있고, 페이지 참조열이 '2414523423'일 때 FIFO, 최적 페이지, LRU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으로 이 페이지를 참조한다면 몇 번의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는지 풀어보기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4번 최적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2번 LRU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4번..

운영체제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 두 가지 중 하나인 메모리 관리에 대하여 스와핑 메모리 할당 방식 3가지: 최초 적합, 최적 적합, 최악 적합 연속 메모리 할당과 외부 단편화 문제 외부 단편화 해결 방안: 압축과 페이징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스래싱과 프레임 할당 1. 스와핑 입출력장치의 요구로 대기 상태가 된 프로세스,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프로세스 등이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세스 중 현재 실행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임시로 보조기억장치 일부 영역으로 쫓아내고, 그 공간에 다른 프로세스를 적재하여 실행하는 방식을 스와핑이라고 한다. 스와핑을 하면 동시에 실행하려는 프로세스들이 필요로 하는 메모리 공간의 총량보다 사용가능한 메모리 용량이 적어도 프로세스들을 동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