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혼공 (16)
테키테크 TEKITECH
4주 차 미션! [미션 1] p. 304의 확인 문제 1번 풀고 인증하기 [미션 2] Ch.11(11-2) 준비 큐에 A, B, C, D 순으로 삽입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선입 선처리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어떤 프로세스 순서대로 CPU를 할당받는지 풀어보기 선입 선처리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먼저 들어온 프로세스에 먼저 할당하는 방식으로, A-B-C-D 순으로 삽입되면 A-B-C-D 순으로 CPU를 할당받는다. 공부한 내용 Chapter 09 운영체제 시작하기 → [운영체제] Ch09. 운영체제 이해하기 Chapter 10 프로세스와 스레드 → [운영체제] Ch10. 프로세스와 스레드, 멀티프로세스와 멀티스레드 Chapter 11 CPU 스케줄링 → [운영체제] Ch11. CPU 스케줄링
고급 언어와 저급 언어 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 연산 코드와 오퍼랜드 명령어의 주소 지정 방식 1. 고급 언어와 저급 언어 고급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 사람이 이해하고 작성하기 쉽게 만들어진 언어 저급 언어(Low-Level Programming Language) : 컴퓨터가 직접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언어 "고급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가 실행되려면 저급 언어, 즉 명령어로 변환되어야 한다." ◈ Low-Level Programming Language - 기계어와 어셈블리어 기계어 : 명령어 비트(0과 1)로 이루어진 언어 어셈블리어 : 기계어를 읽기 편한 형태로 번역한 언어 2. 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 컴파일 언어 : 컴파일 방식 즉, 컴파..
우리가 알아야 할 컴퓨터 구조 지식 두 가지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의 단위 이진법, 십진법, 십육진법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1.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의 단위 컴퓨터의 언어, 0과 1 컴퓨터가 이해하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는 0 또는 1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이를 비트(bit)라고 한다. ◈ 정보의 크기에 따라 표현 가능한 정보의 종류는 달라진다. → N비트 정보는 2N가지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1비트 : (0) or (1) 2비트 : (0, 0) or (0, 1) or (1, 0) or (1, 1) 3비트 : (0, 0, 0) or (0, 0, 1) or (0, 1, 0) or (0, 1, 1) or (1, 0, 0) or (1, 0, 1) or ..
3주 차 미션! [미션 1] p. 185의 확인 문제 3번 풀고 인증하기 · 주로 캐시 메모리로 활용됩니다. ( SRAM ) · 주로 주기억장치로 활용됩니다. ( DRAM ) · 대용량화하기 유리합니다. ( DRAM ) · 집적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SRAM ) 주 기억장치의 하나인 RAM에는 DRAM, SRAM, SDRAM, DDR SDRAM 등이 있다. (1) DRAM은 Dynamic RAM의 준말로, 시간이 지나면 저장된 데이터가 점차 사라지는 특징이 있다. 대신 소비 전력이 비교적 낮고, 저렴하고, 집적도가 높아 대용량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2) SRAM은 Static RAM의 준말로, 시간이 지나도 저장된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DRAM과 차이가 있으며, 속도가 빠..
2주 차 미션! [미션 1] p. 125의 확인 문제 2번 풀고 인증하기 · ( 플래그 레지스터 ) : 연산 결과 혹은 CPU 상태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 ( 프로그램 카운터 ) : 메모리에 가져올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 ( 범용 레지스터 ) : 데이터와 주소를 모두 저장할 수 있는 레지스터 · ( 명령어 레지스터 ) : 해석할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 메모리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 메모리와 주고받을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스택 포인터 : 스택 최상단의 위치를 저장 베이스 레지스터 : 기준 주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미션 2] p. 155의 확인 문제 4번 풀고 인증하기 [미션 3] Ch.0..
우리가 알아야 할 컴퓨터 구조 지식 두 가지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데이터와 명령어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1.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컴퓨터의 언어, 0과 1 0과 1로 표현하는 정보 두 가지: 데이터와 명령어 데이터: 숫자, 문자,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적인 정보 명령어: 데이터를 움직이고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정보 2.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 컴퓨터는 주기억장치, CPU,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 네 가지 핵심 부품과 이를 연결하는 메인보드 (또는 마더보드), 그리고 메인보드 내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버스로 이루어져 있다. [1] 주기억장치 (Main Memory) :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하는..
1주 차 미션! [미션 1] p. 51의 확인 문제 3번 풀고 인증하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반드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합니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는 명령어와 데이터이며, 메모리는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이다. 메모리에는 RAM(Random Access Memory)와 ROM(Read Only Memory)가 있으며, 보통 메모리라는 용어를 사용할 땐 RAM을 지칭한다. [미션 2] p. 65의 확인 문제 3번 풀고 인증하기 1101(2)의 음수를 2의 보수 표현법으로 바꾸어 표현하면 0011(2)이다. 2의 보수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수를 그보다 큰 2n에서 뺀 값'이다. 이 값을 구하는 쉬운 방법은 모든 0과 1을 뒤집고, 거기에 1을 더하여 그 결과를 ..
혼공학습단 9기에서는 11개 도서 중 하나를 선택해서 공부할 수 있다. 대상 도서는 한빛미디어의 시리즈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하는 도서 5권과 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관련 도서 3권, 그리고 코딩과 컴퓨터의 기초 관련 도서 3권이 있다. 혼자 공부하는 C언어 혼자 공부하는 자바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혼자 공부하는 자바 스크립트 혼자 공부하는 SQL 혼자 공부하는 머신러닝+딥러닝 혼자 공부하는 R 데이터분석 혼자 공부하는 데이터 분석 혼자 공부하는 첫 프로그래밍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운영체제 이 중에서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운영체제를 선택했는데, 기초부터 다시 공부하면서 초심을 되찾고 싶었다. 사실 컴퓨터 구조는 전부터 어려워하던 과목이어서 버벅대지는 않을까 조금..